왼쪽부
sans339
2025.08.11 02:02
1
0
본문
홈페이지상위노출
왼쪽부터 구찌의 홀스빗 로퍼, 에르메스의 아트워크, 랄프로렌 로고./각사 [마이데일리 = 이지혜 기자] 에르메스, 구찌, 랄프 로렌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에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말과 승마 문화에서 출발하거나 그 정신을 계승했다는 점.고대 그리스의 전차 경주에서부터 중세 기사들의 위엄 있는 기마행렬, 그리고 근세 유럽 귀족들의 사냥과 승마까지, 말은 언제나 지배층의 권위와 세련된 취향을 대변해왔다. 특히 19세기 유럽에서 승마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상류사회의 필수 교양이자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었다. 말을 넣은 스카프 /에르메스 ◇에르메스(Hermès) “마구에서 시작된 명품”돈이 있어도 쉽게 살 수 없다는 버킨백과 켈리백으로 유명한 에르메스는 말과 인연에서 시작된 브랜드다. 1837년, 마차가 파리 거리를 누비던 시대에 띠에리 에르메스는 마들렌 광장 근처 바스 뒤 랑파르에 작은 마구점을 열었다. 안장과 마구류를 전문으로 하는 이 작은 공방은 철저한 수공예 방식을 고수했다.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도 에르메스는 이탈리아 장인들의 전통적인 바느질 기법과 견고함을 추구했고, 이는 당시 최상류층인 귀족의 까다로운 요구를 충족시켰다.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수상한 이후 에르메스 마구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최고급 가죽과 정교한 제작 공정, 독창적인 바느질 기법으로 프랑스 왕실의 신뢰를 얻었으며, 러시아 황제의 안장까지 제작하게 됐다.이후 가죽 가방, 스카프, 의류로 영역을 확장했지만 브랜드 DNA에는 여전히 말의 정신이 깊이 새겨져 있다. 에르메스는 여전히 안장 등 승마용품을 생산할 뿐 아니라, 시그니처 ‘까레(Carre) 실크 스카프에 말과 기수, 마구를 주제로 한 디자인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또 매장 곳곳에서 말 조형물과 안장 형태의 디테일을 발견할 수 있다. 듀크와 마차부가 그려진 에르메스의 상징적인 로고는 오늘날에도 브랜드의 뿌리를 말해준다. 홀스빗 로퍼./구찌 ◇구찌 “승마 장비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럭셔리”구찌의 아이코닉한 홀스빗 로퍼에 장식된 홀스빗은 말의 재갈에서 영감을 받 [뉴스데스크]◀ 리포트 ▶경북 의성 고운사입니다.지난 3월 산불로 전각은 물론이고 사찰 숲까지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불이 꺼진지 넉달이 지난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요?그리고 또 앞으로 어떻게 복원해 나가는 것이 좋을까요?고운사에서 산불 피해지 복원 방안에 대해서 고민해 봤습니다.----------시커멓게 탄 산 깊숙한 곳.고운사가 있습니다.천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지만 지난 3월 큰 산불 피해를 입었습니다.국가유산을 포함한 건물 여러동이 불에 탔고, 약 250헥타르, 축구장 350개 크기에 달하는 넓은 숲도 피해를 입었습니다.이렇게 산불 피해가 발생하면 많은 곳에서 불에 탄 나무를 베어내고 다시 어린 나무를 심는 이른바 인공복원이 진행됩니다.하지만 고운사는 불에 탄 숲을 그대로 두기로 했습니다.'자연복원'을 선언한 겁니다.[등운 스님/고운사 주지] "우리 환경은 전체가 바위산입니다. 굉장히 열악한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식생을 (조성) 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어요. 그래서 이 자연한테 맡겨두는 게 제일 좋겠다."불에 탄 숲으로 들어가 봤습니다."소나무는 물론이고 그 아래 작은 활엽수들까지 다 불에 탄 매우 강한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이거든요."그런데 보면은 밑에서 되게 많은 풀들이 올라왔죠.이 작은 활엽수들도 밑에서부터 몇 달 사이에 많이 올라와서 자라기 시작했습니다.벌써 어른 키만큼 자란 물푸레 나무도 있습니다.[최진우/박사·서울환경연합 전문위원] "이 소나무 숲 아래에는 이 땅 속에 그만큼 활엽수를 틔워낼 수 있는 나무 뿌리와 양분이 충분히 있다고 볼 수 있는 거죠."불탄 숲에선 여러 야생동물들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산불과 산사태 피해가 이어지며 조림을 통한 복원과 임도 건설, 솎아베기 등 인위적인 방식의 산림 관리에 대한 의구심은 커졌습니다.[이재명 대통령(지난달 29일, 국무회의)] "산불·산사태 그다음에 산림 관리 방안. 사실 논쟁이 되게 많은 사안이에요. 그죠?"대통령 지시로 과학적 검증과 재평가를 위한 토론회가 진행됐지만 입장은 팽팽했습니다.[최병성/기후재난연구소 상임대표] "심지어 북한마저 산불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일하게 산불이 증가하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입니다. 이것은 기후 변화가 아니라 다른 원인이 있다."[박현/서울대 객원교수
홈페이지상위노출
댓글목록 0
댓글 포인트 안내